|
나는 1915년 당시의 개성 읍에서 태어났다. 유복한 집안의 1남 3녀 중 막내로 자라며 부족한 것 없이 어린 시절을 보냈다. 호수돈 보통학교와 호수돈 여고를 다녔는데, 공부를 열심히 하는 편은 아니었지만 소녀답지 않게 하모니카 불기를 좋아했다. 하지만 당시 사회의 여성에 대한 편견 때문에 야단도 더러 맞았던 것 같다. 영어를 남보다 잘했고, 문학에도 취미가 있어 세계명작들도 열심히 구해 읽었다. 자수에는 취미가 있었으나 이것을 내 평생의 업으로 삼으리라고는 당시 생각하지 못했었다. 지내놓고 보니 이 시절이 나에게 남겨준 것은 첫째는 문학소녀로서 넓은 세계에 대한 꿈과 호기심을 키웠다는 것이고, 둘째는 개성사람의 자존심과 기질을 몸으로 익히고 그 가치에 대한 믿음을 평생 지닐 수 있게 했다는 것이다. 여고를 졸업하며 서울로 올라와 이화여전 영문과 예과에 입학했다. 서울의 생활이 개성에 비해 낯설고 폭이 넓게 느껴졌지만 나는 왠지 무언가
다른 더 넓고 큰 세상으로 가야할 것같은 공상에 잠기곤 했다. |
|
|
마침 이종사촌언니가 일본에서 유학 중이었는데, 방학 때 고향을 찾은 언니에게 동경유학에 대해 이것저것 물으며 도움을 청했다. 집안에서는 어린 딸을 멀리 떠나 보낸다는 것이 불안하여 동경 유학을 반대하셨으나 한번 마음먹으며 꼭 해내야 하는 나의 고집을 꺾을 수 없었던 모양이다. 마침내 예과 1년을 마치면서 동경여자미술대학에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. 미술대학을 선택한 것도 사범과 자수부를 선택한 것도 언니의 조언에 따라서였다.
내 미래에 대한 구체적인 가능성을 발견한 것은 이 시절이었다. 기숙사 생활을 하며 공부 밖에 몰랐던 시절, 유일한 한국 여자기숙생으로 일본 학생에 뒤떨어져서는 안 된다는 생각으로 열심히 공부하면서 마치 종교에 함몰하듯 섬세하고 윤기나는 실과 바늘 끝에 온 정성을 쏟아 자수판을 메꾸어 나갔다. 이런 가운데 지금까지 겪어보지 못한 별세계를 체험 할 수 있었고 다 놓아진 수를 놓고 이를 음미해보며 나의 미래를 꿈꾸기도 했다. |
|
기숙사에서 나와 하숙을 하던 동안에는 호수돈여고 시절부터 배워온 하와이안 기타를 즐겨 타면서 고향의 향수를 달래기도 했는데 나보다 늦게 유학 온 박민종씨(후에 경희대 학장 역임)가 바이올린을 진홍섭 선생(후에 이화여대 박물관장 역임)이 내 방으로 기타를 가지고 와서 삼중주를 맞추어 보곤 했던 기억이 난다. 지금 생각해보면 황홀한 시간들이었다.
1937년, 마침내 대학을 졸업하는 동시에 일본국 문부성에서 주는 자수편물 교원자격증을 가지고 고향으로 돌아오게 되었다. |
|
|
귀국 이듬해인 1938년 나는 모교인 호수돈 여고에서 교편을 잡게 되었다. 나는 무엇이든 한번하면 열심히 하는 성격이라 가르치는 일에도 온 정성을 쏟았다. 학생들은 나를 친언니처럼 잘 따랐다. 그래서인지 그 해 신문사에서 주관하는 작품공모전에 네 명의 학생이 출품해서 네 명 전원이 특선을 하는 기쁨을 누렸다. 이것이 나의 작품활동에도 큰 용기를 주어 같은 해 열린 조선미술전에서 나의 작품 '국화와 원앙'이 입선을 하는 영예를 안게되었다. 나는 지금 내가 참 복 많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. 그 시대에 여성에게 젊은이들을 가르치는 일을 하면서, 한편으로 자신의 예술세계에 심취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는 것이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행운이 아니었기 때문이다. 이 모든 일이 유학을 마치고 귀국 일년만에 일어났으니 그 당시 젊은 나이로서 마치 양어깨에 날개를 단 것 같은 기분이었다. |
|
|
|
|